티스토리 뷰
인프런에서 진행한 김영한님의 강의(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를 토대로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스프링 기본기를 확실히 다질 수 있습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
객체 지향 특징
- 추상화
- 캡슐화
- 상속
- 다형성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명령어의 목록으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여러 개의 독립된 단위,
즉, "객체"들의 모임으로 파악한다. 각각의 객체는 메시지를 주고받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협력)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을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대규모 소프트웨어 개발에 많이 사용된다.
❓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다는 건 무슨 의미일까?
- 레고 블럭 조립하듯이
- 키보드 or 마우스를 갈아 끼우듯이
- 컴퓨터 부품을 갈아 끼우듯이
- 컴포넌트를 쉽고 유연하게 변경하면서 개발할 수 있는 방법
❗️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 다형성 (Polymorphism)
✔️ 다형성의 실세계 비유
- 실생활과 객체 지향을 1대 1로 매칭하기 어렵지만, 실생활 비유로 이해하기는 좋다.
→ 역할과 구현으로 세상을 구분해 보자.
역할 : 인터페이스 / 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ver 1. 운전자와 자동차
운전자 역할이 있고, 자동차 역할이 있다.
자동차 역할은 K3, 아반떼, 테슬라 모델3로 구현할 수 있다.
운전자가 K3에서 아반떼, 테슬라 모델3로 자동차가 변경되어도 운전할 수 있다.
자동차가 달라졌을 뿐, 운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운전자는 자동차라는 역할만 의존하고 있다.
자동차가 바뀌어도 운전자는 어떤 자동차여도 상관없는 것이다.
운전자가 자동차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
자동차의 역할만 동일하면 운전자는 이름을 모르는 자동차라도 그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다.
→ 개발 : 클라이언트에게 영향을 주지 않아도 새로운 기능을 제시할 수 있다.
ver 2. 연극 무대
연극 <셰익스피어 인 러브>를 관람한다고 생각해보자.
주인공을 누가 연기하든, 상관 없이 연극을 관람할 수 있다.
윌 셰익스피어 역 : 정문성, 이상이, 김성철
비올라 드 레셉스 역 : 정소민, 채수빈, 김유정
윌 셰익스피어 역과 비올라 드 레셉스 역은 누구로든 대체가 가능하다. → 유연하고 변경이 가능하다.
역할과 구현을 분리
- 역할과 구현으로 구분하면 세상이 단순해지고, 유연해지며 변경도 편리해진다.
❗️장점
- 클라이언트는 대상의 역할(인터페이스)만 알면 된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 자체를 변경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 Java의 다형성은?
- 자바 언어의 다형성을 활용
→ 역할 = 인터페이스
→ 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구현 객체
- 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분리
- 객체 설계 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 만들기
객체의 협력?
- 혼자 있는 객체는 없다.
- 클라이언트 : 요청, 서버 : 응답
- 수많은 객체 클라이언트와 객체 서버는 서로 협력 관계를 가진다.
Java 언어의 다형성
- 오버라이딩 : 상위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메서드를 하위 클래스가 재정의해서 사용
- 다형성으로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클래스 상속 관계도 다형성, 오버라이딩 적용이 가능하다.
`MemberService` 의 클라이언트는 `Member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의존한다.
`MemberRepository` 는 `MemoryMemberRepository`가 될 수도 있고, `JdbcMemberRepository` 가 될 수도 있다.
⭐️ 다형성의 본질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 다형성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협력이라는 객체 사이의 관계에서 시작해야 한다.
-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 역할과 구현을 분리한다는 것
-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다.
- 확장 가능한 설계이다.
-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변경이 가능하다.
-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스프링과 객체 지향
- 다형성이 중요하다.
- 스프링은 다형성을 극대화해서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 스프링의 제어의 역전(IoC), 의존관계 주입(DI)은 다형성을 활용해서 역할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
- 스프링을 사용하면 마치 레고 블록 조립하듯, 연극 무대의 배우를 선택하듯, 구현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Spring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SOLID (객체 지향 설계 원칙) (0) | 2023.03.27 |
---|---|
[Spring]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스프링이란? (0) | 2023.03.25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프링
- 개발환경
- HTTP
- dbms
- 알고리즘
- java설치
- 계산함수
- JAVA_HOME
- JDK설치
- 쿼리박스
- 수학함수
- 테이블조회
- PRIMARYKEY
- mysql
- 숫자함수
- SQL
- 내장함수
- JDK
- db
- MySQL_portable
- 강의정리
- PRIMARY_KEY
- 환경변수
- QueryBox
- spring
- CS지식
- 제약조건
- 김영한
- path
- db연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